「과학 교육 연구」투고 규정
1. 투고 논문은 일본 과학 교육학회의 회원이 집필한 과학에 대한 교육 및 과학적•공학적 수법에 의한 교육에 관한 원본으로, 다른 간행물에 미발표, 미투고한 논문으로 합니다.
※구두 발표 등의 예고에 가필•수정하여 투고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2. 투고 논문은 연구논문, 총설•전망, 자료, 플라자 4 종류입니다.
■ 연구논문은 이론적 또는 실증적이고 독창성이 있는 논문(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실천 연구, 교재•교구, 교육 시스템등의 개발, 사례 연구 등을 포함)으로 합니다.
■ 총설•전망은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사조, 정책, 연구 동향의 해설이나 전망에 관한 논문으로 합니다.
■ 자료는 과학 교육에 대한 유익한 자료의 제시에 관한 논문으로 합니다.
■ 플라자는 과학 교육에 대한 의견•제언등으로 합니다.
3. 투고 논문의 분량은 도표를 포함한 본문의 페이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지의 1페이지의 문장 부분은 옆 24자, 세로 43행으로 2단조입니다.
《원고 종별》 《페이지수》
연구논문 8페이지 이내
총설•전망 8페이지 이내
자료 8페이지 이내
플라자 2페이지 이내
덧붙여 페이지수가 상기의 규정을 초과했을 시에는 별도의 대금이 반영됩니다.
4. 투고 논문은「원고 집필 요항」에 따라 집필하시기 바랍니다. 투고는 회원 전용 홈 페이지의 신규 투고 신청 화면에서 필요 사항을 기입하시고, 논문 파일도 업로드해 주십시오.
5. 투고 논문이 편집 위원회에 도착하여 논문 접수 수속이 완료되면 저자 앞으로 접수 확인메일이 송신됩니다.
6. 투고 논문은 편집 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후 본지에 게재 여부를 결정합니다.
7. 투고 논문의 종합 판정이 이루어지고 채록이 결정되었을 시에는「채록 통지」, 조건부 채록 시에는「조건부 채록 통지」, 게재 불가 시에는「게재 불가 통지」를 투고자 앞으로 보냅니다. 「조건부 채록 통지」의 경우, 통지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수정 논문을 학회 사무국으로 보내 주십시오. 기한 내에 도착하지 않는 경우, 투고자가 투고를 사퇴한 것이라고 간주하겠습니다.
※특별 인정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수정은 1회 가능하며 두 번째 심사로 채록 또는 게재 불가가 결정됩니다.
8. 채록이 결정된 논문에 대해서는 「게재 예정호」를 통지한 후, 저자에게 초고를 보냅니다. 저자 교정은 1회 한정입니다.
9. 별도는 50부를 원칙으로 저자가 구입하는 것으로 하고, 50부 이상이 필요하시면 저자 교정할 때에 알려주십시오. 별도의 대금은 각 호의 판권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10. 투고 논문의 심사 결과에 이의가 있는 저자는 편집 위원회에 그 취지 문서로 의의 신청할 수 있습니다.
11. 「게재 불가」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 또는 투고를 사퇴했을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는 투고 논문을 타 학회등에 투고 할 수 없습니다.
12.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본회 편집 저작물에 관한 저작권 규정에 근거하여 본 학회에 있습니다.
13. 이외 투고에 대한 문의가 있으신 경우,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日本科学教育学会編集事務局 일본 과학 교육학회 사무 지국
京都市上京区下立売通小川東入 교토시 카미교구 시타테우리토오리 오가와 히가시 이리
中西印刷部式会社 学会部内 나카니시인쇄 주식회사 학회부내
(우)602-8048
TEL:075-441-3155 FAX:075-417-2050 E-MAIL:jsse-hen@nacos.com
부칙
이 규정은 1995년 1월 10일부터 시행한다.
1995년 6월 24일 개정.
1999년 5월 15일 개정.
2004년 9월 18일 개정.
2007년 10월 1일 개정.
논문 심사의 관점 (2007년 10월 1일부터)
사항 | 규준 | 연구논문 | 총설 전망 | 자료 | 플라자 |
研연구 내용•논문 타이틀의 적합성 | 논문 타이틀은 내용과 적합한 것이다 | ○ | ○ | ○ | ○ |
신규성•유용성 | 본 논문은 신규성, 유용성 또는 신뢰성이 있다 | ○ | ○ | ○ | |
배경•위치설정 | 배경과 위치설정이 명쾌하고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 ○ | ○ | ○ | |
문제 설정의 타당성 | 채택한 문제와 목표는 본 학회의 연구 내용에 타당한 것이다 | ○ | ○ | ○ | ○ |
문제 설정•목표의 기술 | 문제, research question, 목표 등이 명쾌하고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다 | ○ | ○ | ○ | |
수속•방법 및 그 기술의 타당성 | 적절한 수속, 방법을 취한다 | ○ | |||
수속, 방법에 대한 기술이 명쾌하고 구체적이다 | ○ | ○ | ○ | ||
결과, 결론의 기술 | 결론이나 주장을 이끌어내기 위한 근거가 되는 사실•정보가 제시되어 있다 | ○ | ○ | ||
결과가 적절히 표시, 기술되어 있다 | ○ | ○ | |||
결론이나 주장이 명쾌하게 기술되어 있다 | ○ | ○ | |||
문제 설정•목표와 결론•주장과의 일관성 | 고찰, 결론, 주장 등이 정의한 문제나 목표에 알맞게 적절히 기술되어 있다 | ○ | ○ | ||
정의된 문제나 목표를 바탕으로 자료에 대한 의의가 논해지고 있다 | ○ | ||||
논리적 적합성 | 논리의 모순이나 비약이 없다 | ○ | ○ | ○ | ○ |
사실과 의견, 주장과 근거가 알맞게 제시되어 있다 | ○ | ○ | |||
문헌•인용 정보 | 인용 문헌 등이 제시되어 있다 | ○ | ○ | ||
인용 정보가 적절히 기재되어 있다 | ○ | ○ | ○ | ○ | |
전문가 외 독자에 대한 배려 | 해당 영역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학회원도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한 논문이다 | ○ | ○ |